본문으로 바로가기

백색국가 뜻 과 화이트리스트 란?

category 소소한 팁/일상 팁 2019. 8. 2. 00:57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많이 안좋아 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가 나날이 심해 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백색국가 즉 화이트리스트 국가 제외 카드를 만지고 있는 일본이

일본내의 법령을 통해 한국을 백색국가( 화이트리스트 국가) 에서 제외 하는 법령 개정안을 통과 시킬 각의(2일진행) 

가 코앞으로 다가 오면서 백색국가 뜻 과 화이트리스트 란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색국가 란?


먼저 백색국가 란 무엇인지 부터 알아 보겠습니다. 


백색국가 란, 

일본 첨단제품 수출 허가신청 면제 국가를 의 미합니다. 

한국 미국 등 27개국이 이에 해당되고 있으며, 안보에 문제가 없다고 평가하는 국가들 입니다. 

각 나라별로 백색국가 를 별도로 지정하고 있으며, 자국의 첨단제품 수출시 별도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즉 통관절차 간솔화 혜택을 주는 안보상 우호 국가 목록 입니다. 




위와 같이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는 한국을 비롯한 27개국이 있으며, 

첨단제품 즉 전략물자로 구분되어 있는 항목은 1100 여개 입니다. 






이러한 백색국가 제외시 문제가 되는 점은 

식품, 목재를 제외한 거의 전 품목에 대해 건건이 기업에서 개별허가를 받아 수출을 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각 품목의 수출 허가를 받는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와,

국가에서 허가를 해주지 않으면, 그 품목을 수출 할수 없다는 문제 점이 있습니다. 


일본은 현제 한국과 총성없는 경재 전쟁을 치루고 있는 와중에, 품목들의 허가가 지연되거나, 허가를 해주지 않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면, 

한국의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일본의 경제 보복일지




일본은 지난 7월부터 꾸준히 한국 에 경제 제제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 이자 큰 무기로 이번 백색국가 제외 를 노리고 있습니다. 







한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일본 외무상 과의 회담이 성사 되기도 하였으나,

별다른 소득 없는 만남이였다고 합니다. 



화이트리스트 제외 대응 방안





한국은 WTO 분쟁해결기구(DSB) 의 제소를 통한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있습니다. 

일본의 보복적인 무역 조치 이므로, 화이트리스트 제외는 WTO 의 정신에 위배 된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입니다. 




과거 한국과 일본은 WTO 제소를통한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를 진행한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제소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일본 측에서는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이 진행되고, 한국은 막대한 피해를 볼수도 있다는 생각 입니다. 


과거의 사례를 보았을 경우, 결론이 나오기 까지 약 4년의 시간이 걸린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가 한국 경제에 피해가 오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시간 인듯 합니다.

728x90
반응형